내맘대로 경제

전세 월세도 아니다 이제 "주세"

MMP 2023. 1. 24. 13:59
반응형

부동산 이야기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최근 부동산 시장관련 소식을 보면, 빌라왕 사태, 고금리로 인한 영끌족의 비명, 둔촌주공 높은 미분양 가능성 등 참 부정적 뉴스가 상당히 많죠.

 

이런 상황속에 "주세"라는 개념이 등장했는데요, 술과 관련된 주세가 아닙니다.(참고로 술과 관련된 주세는 올해인 23년 4월1일부로 오른다고 하네요 ㅠㅠ) 부동산 주세는 말 그대로 월이 아닌 매주마다 부동산 임대료를 내는 것인데요, 참 이걸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요? 

 

 

<  MZ세대가 주세를 찾는다! >

 

월세라는 것은 일정 보증금을 낸 후, 매달 약속한 날에 부동산 임차료를 내는 것이죠. 하지만 주세는 보증금 자체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냥 매주 약속한 금액만을 집주인에게 주면 되는 것이죠. 보증금이 없다는 것이 상당한 매리트인데요, 아무래도 몫돈 마련이 힘든 청년층, 주로 MZ세대들을 중심으로 이 주세를 선호하고 있다고 합니다.

 

거기다 최근 빌라왕 사태가 이들이 월세보다 주세를 선호하는 마음을 더욱 가속화 시켰는데요, 빌라왕 사태의 핵심은 결국부동산 임대할때 내는 보증금을 못 돌려받는 것이죠. 2030 청년층이 사회 경험이 적다보니, 이런 빌라왕 사태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일종의 몸부림이라고 해야할까요? 

 

MZ세대를 중심으로 주세를 선호하는 경향이 최근 부동산 임대시장의 트랜드가 되었네요. 

 

 

<  월세보다 비싸다... >

 

하지만 이 주세가 월세보다 훨씬 비쌉니다. 우리나라의 부동산 입대는 크게 전세 월세가 있죠. 전세는 임차할때 내는 보증금이 큰 대신 매달 내는 월세가 없고, 월세의경우 전세에 비해 보증금이 작은대신, 매달 내는 월세가 있습니다.

 

이 보증금은 만에하나 임차인이 집주인에게 월세를 제때 못내거나, 혹은 임차인이 집에 큰 손해를 가했을 경우, 보증금으로 해당 문제를 해결하죠. 

 

근데, 주세는 보증금이 없습니다. 매 주 돈을 내는 대신, 보증금이 없으니, 큰 돈을 마련하기 힘든 청년층에겐 좋아보이는듯 하네요. 그러나 이 주세는 비쌉니다. 보편적으로 월세에 비해서 30%정도 더 비싸다고 하는데요, 당연히 보증금이 없으니 집주인 입장에선 당연히 리스크가 있는 것이고, 돈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죠. 

 

조사에 따르면, 노른자 땅인 강남일대의 원룸 오피스텔의 경우 평균 주세가 40만원이 넘는 금액이며, 이를 한달로 환산하면 160만원 상당이고, 비강남권의 경우 30만원대 정도라고 하니, 주세에 거주하는 청년층이 과연 재산 형성을 할 수 있을까란 생각이 드네요. 

 

 

< 혹시... 금리때문인가? >

 

1년전인 22년 초 전세대출 금리는 3~4%대였죠, 하지만 전세대출 금리는 최근 7%까지 솟아올랐는데요, 상황이 이렇게 고금리다보니, 차라리 은행에 이자를 내는 것보다 월세를 내고자하는 것이 최근의 트랜드죠. 

 

지난해는 주식 코인 등 대부분의 자산이 하락을 했기 때문에, 일명 빚투족들 대출을 줄이기 위해 안간힘을 썼던 한해이기도 하죠. 고금리로 인해 이들은 더이상 대출을 받는 것은 부담스럽기 때문에, 현재 많은 사람들이 대출을 줄이고, 추가로 대출 받는 것을 피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 이 빚투족들은 보증금을 땡겨 투자를 한 사람들도 상당수 있죠. 그러니 더이상 전월세에 살 보증금이 날려 더이상 전월세에 살 수가 없습니다. 

 

그렇다보니 대출을 받을 수 없는, 어떻게 보면 어려운 속사장이 있는 사람들의 경우, 큰 몫돈이 필요없는 주세를 어쩔 수 없이 선택 할 수 있다고 봐야지 싶은데요, 이런 관점에서 보면 주세는 강제 트랜드화 되었고, 기존의 전세와 월세를 대체하는 패러다임의 변화로는 보기 힘들지 싶네요. 

 

 

오늘은 부동산 시장에 주세라는 개념이 등장했다는 이야기를 했는데요, 영끌 빚투의 어두운면이 또 하나 추가 되었네요, 곧 금리 인상이 중단된다는 말이 많은데, 어려운 사람들의 사정이 좀 괜찮아지길 기도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